출처 : 경제금융용어700선 (한국은행)
규모의 경제이란?
일반적인 경우 기업이 재화 및 서비스 생산량을 늘려감에 따라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평균 생산비용도 점차 늘어난다.
그런데 일부 재화 및 서비스 생산의 경우에는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평균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라고 한다.
이런 현상은 초기 생산단계에서 막대한 투자비용이 필요하지만 생산에는 큰 비용이 들지 않는 철도・통신・전력산업에서 나타나는데, 이들 산업은 생산이 시작된 이후 수요가 계속 늘게 되면서 평균 생산비용도 감소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분업에 따른 전문화 이익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규모의 경제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각자 케이크를 만드는 3명의 제빵사를 생각해보자. 이들이 따로 케이크를 만들 때 보다 한 명은 반죽만, 한 명은 굽기만, 한 명은 장식만 하는 분업을 할 경우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평균 비용도 줄게 된다.
연관검색어 : 범위의 경제
관련기사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209265702i
중국 태양광 발전용량, 처음으로 풍력 앞서…규모의 경제 실현
중국 태양광 발전용량, 처음으로 풍력 앞서…규모의 경제 실현, 강현우 기자, 국제
www.hankyung.com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 그램-리치-블라일리법 (0) | 2022.09.29 |
---|---|
경제용어 : 규제 샌드박스 (0) | 2022.09.29 |
경제용어 : 국제통화기금(IMF) (0) | 2022.09.29 |
경제용어 : 국제원유가격 (0) | 2022.09.29 |
경제용어 : 국제수지표 (0) | 202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