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경제용어 : 경기순응성

파크웨이7 2022. 9. 15. 09:19

경기순응성
경기순응성이란 통상 경제주체의 위험인식 및 행위, 금융의 제도 및 규제 등의 효과가 경기변동의 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은행대출의 경우 호경기에는 미래에 대한 낙관적 기대 등으로 여신심사기준도 완화되어 더 크게 증가하여 경기확장에 기여한다. 반면 불경기에는 심사기준이 강화되어 대출이 큰 폭으로 감소하여 불황을 더욱 부추기게 된다. 이러한 은행대출의 경기순응적 대출행태는 신용팽창 또는 위축을 가속시킴으로써 경기변동의 진폭을 더욱 크게 한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정책을 마련할 경우 경기순응성을 완화할 수 있는 경기대응적 정책수단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관검색어 : 거시건전성 정책

 

 

 

 

관련기사: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109014131b

 

기준금리 사전 예고제 도입이 필요하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기준금리 사전 예고제 도입이 필요하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기자, 재테크

magazine.hankyung.com

기사내용중

"오히려 기준 금리 사전 예고제는 과열일 때 정점을 더 끌어올리고 침체일 때 저점을 더 끌어내리는 ‘경기 순응성’을 줄이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른바 ‘자동 조절 장치’다. 경기와 물가의 진폭이 줄어들면 주가를 비롯한 각종 가격 변수의 변동성이 예측하지 못할 정도로 커지는 ‘팻 테일 리스크’ 장세도 해소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