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경제용어 : 경직적 물가지수

파크웨이7 2022. 9. 16. 10:07

경직적 물가지수

 

경직적 물가지수란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품목 중에 가격이 경직적으로 움직이는 품목과 신축적으로 움직이는 품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중 경직적으로 움직이는 품목들을 대상으로 만든 물가지수를 경직적 물가지수, 신축적으로 움직이는 품목을 대상으로 한 물가지수를 신축적 물가지수라 한다. 

 

예를 들어 정부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 공공서비스, 전기・수도, 담배, 보육・급식 가격이나 개인서비스 요금 등은 대체로 경직적 물가를 구성하는 주요 품목이다. 

 

이러한 경직적 물가는 통화정책 관점에서 소비자물가 예측에 매우 유용한 물가지표이다. 특히 경직적 물가와 신축적 물가의 움직임에 내재된 정보가 서로 달라 향후 인플레이션 향방을 정도 있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경직적 물가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해석하는데 유의할 필요가 있다.

 


연관검색어 : 근원인플레이션율

 

 

관련기사

https://m.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2209142116005

 

멈출 기미 없는 미 물가 상승…연준 ‘1%P 금리 인상’ 관측도

미국 물가오름세가 진정될 것이란 시장의 기대는 시기상조였다. 물가안정에 이르기까지 아직 갈 ...

m.khan.co.kr

 

 

출처 : 경제금융용어700선 (한국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