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자본소모
생산활동에는 공장, 기계설비 등 고정자본(시설)이 필요한데 이들은 생산활동 과정에서 마모되기 마련이다. 이처럼 생산에 이용된 기계 등 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고정자본소모(consumption of fixed capital)라고 한다.
따라서 일정 기간 중에 생산된 생산물의순수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생산능력이 저하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즉 고정자본소모만큼 조정하여야 한다.
순생산액 = 총생산액(= 산출액- 중간투입액)- 고정자본소모
(순소득) (총소득)
자동차공장을 예를 들어보면 먼저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차체 등 각종 부품이있어야 하며 또 각종 부품을 조립하는 기계가 있어야 한다.
자동차를 만들게 되면 부품도 소모되지만, 조립기계도 닳게 된다. 여기에서 총생산액은 산출액에서 부품구입액 등 중간투입액을 차감한 총부가가치를 말하고 순생산액은 총부가가치에서 고정자본소모를뺀 순부가가치이다.
그런데 고정자본소모는 현 수준의 생산활동을 지속하기 위하여 언젠가는 지출될 부분이므로 이 공장의 측면에서 보면 총생산보다는 본래의 기계 가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로이 생산해 낸 부가가치 즉 순생산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연관검색어 : 총고정자본형성
관련기사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4/310351/
[팩트체크] 소득주도성장은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지난 20일 페이스북을 통해 "소득주도성장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고 주장했습니다. 박 수석은 "소득주도성장이 왜 실패했다고 낙인을 찍느냐"라며 "코로나
www.mk.co.kr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 고통지수 (1) | 2022.09.19 |
---|---|
고정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0) | 2022.09.19 |
경제용어 : 고정이하여신비율 (0) | 2022.09.19 |
경제용어 : 고정분류여신 (1) | 2022.09.19 |
경제용어 : 고정금리부채권(SB) (1) | 2022.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