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경제용어 : 국가경쟁력지수

파크웨이7 2022. 9. 21. 16:28

국가경쟁력지수란? 

 

국가경쟁력은 국제경쟁력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흔히 한 나라가 사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국민경제의 성장 및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국가경쟁력지수는 국가경쟁력을 주요 구성요소별로 평가, 합산해 지수화한 것으로 관점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데, 현재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세계경제포럼(WEF)과 국제경영개발 원(IMD)에서 편제하고 있는 두 가지가 있다. 

 

세계경제포럼은 하버드경영대학원의 도움을 얻어 주요 국제기구와 산업계 인사들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매년 세계 각국의 국제경쟁력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동 지수는 성장경쟁력과 미시경쟁력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성장경쟁력은 기술수준, 공공기관, 거시경제환경 등 3개부문 8개항목으로, 미시경쟁력은 기업 전략 및 운영, 비즈니스환경의 질적 수준 등 2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세계경제포럼 부설 국제경영개발원도 세계 70여개 국가의 경쟁력을 주요 통계지표와 기업인 및 연구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근거로 평가해 국제경쟁력지수를 발표한다. 

 

동 지수는 사회간접자본, 정부의 효율성, 경제운용성과, 기업의 경영효율성등 4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관검색어 :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관련기사

https://m.khan.co.kr/economy/industry-trade/article/202208241003001

 

[한·중 수교 30년] “중국, 국가경쟁력과 제조업경쟁력서 한국 이미 넘어섰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30년이 흐른 뒤 중국이 경제력과 수출, 기술력 등에서 한국을 빠르게...

m.khan.co.kr

 

 

 

 

출처 : 경제금융용어700선 (한국은행)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 국가채무  (0) 2022.09.21
경제용어 : 국가신용등급  (1) 2022.09.21
구제금융  (0) 2022.09.20
경제용어 : 구인배율  (0) 2022.09.20
경제용어 : 구속성예금  (0) 2022.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