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계정체계(SNA)란?
국민계정은 국민경제의 순환과 변동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회회계로서 경제활동을 거래형태별 및 거래에 참가하는 경제주체별로 파악하여 복식부기 방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즉, 국민경제의 순환에 따른 변동을 각각의 거래형태와 거래주체 간의 상호연관하에서 체계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국민계정체계(SNA; a System of National Account)는 기존의 산업연관표, 국민소득통계, 자금순환표, 국제수지표 등 별개로 파악하고 있던 국민계정관련 통계를 통합, 각종 경제분석에 적합하도록 거래형태 및 거래주체를 경제활동의 동질성에 따라 몇 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즉 국민계정체계는 국민경제의 순환에 따른 변동을 실물거래와 금융거래의 활동 측면에서 파악하여 국민경제의 변동에 의한 재화와 용역의 공급과 처분내용은 생산계정에, 소득의 분배와 처분내용은 소득계정에, 자본의 조달과 축적내용은 자본조달과 축적계정에 그리고 외국과의 거래내용은 국외거래계정에 각각 기록하여 작성된다.
연관검색어 : 산업연관표(I/O Tables), 국민대차대조표
관련기사
https://m.segye.com/view/20220216506933
“기재부, OECD 국가부채 비율 비교 때 한국만 다른 기준 적용”
기획재정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간 일반정부부채(D2) 비율을 비교할 때 우리나라만 다른 기준을 적용해 수치를 실제보다 과장되게 보이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6일 나라살
www.segye.com
출처 : 경제금융용어700선 (한국은행)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 국민부담률 (0) | 2022.09.26 |
---|---|
경제용어 : 국민대차대조표 (1) | 2022.09.26 |
경제용어 : 국내총투자율 (0) | 2022.09.26 |
경제용어 : 국내총생산(GDP) (0) | 2022.09.21 |
경제용어 : 국내신용 (0) | 202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