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 금리평가이론
[출처 : 경제금융용어700선 (한국은행)]
금리평가이론이란?
완전한 금융시장에서 즉, 국경간 자본이동에 규제가 없고 거래비용이나 세금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2개국 간의 금리격차는 선물환 프리미엄(또는 스왑레이트)과 같다 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1억원을 가진 우리나라의 투자자가 1년간 미국 또는 우리나라의 채권에 투자한다고 하자.
이 경우 완전한 금융시장에서는 1년후 투자자가 받는 원리금액은 한국에 투자한 것이든 미국에 투자한 것이든 같아야 하는데, 이는 아래 식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1억(1+i) = (₩1억/S)(1+i*)F 단, i: 한국 1년물 채권금리 i*:미국 1년물 채권금리 S: 현물환율 F: 1년만기 선물환율. 위 식은 아래 식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S)/S = (i-i*) 즉, 완전한 금융시장에서 양국간 금리차는 현물환율(S)과 선물환율(F)간 차이를 현물환율로 나눈 것(흔히 스왑레이트라 한다)과 같아야 한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거래비용 등이 있기 때문에 양자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데, 양자간의 차이(내외 금리차-스왑레이트)가 커질 경우 환위험 없이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재정거래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금융시장이 안정적일 경우 양자간 차이는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연관검색어 : 스왑레이트
관련기사
https://www.infostock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1120
영란은행 긴급 국채 매입에도…"근본적 해결책 아냐" - 인포스탁데일리
[인포스탁데일리=이형진 선임기자] 영란은행(BOE)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긴급 국채 매입을 단행하면서 한숨을 돌렸지만, 여전히 불씨는 꺼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
www.infostock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