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경제용어 : 금융제도

파크웨이7 2022. 10. 12. 15:14

출처 : 경제금융용어700선 (한국은행)

 

 

금융제도란? 


금융거래에 관한 체계와 규범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금융시장, 금융기관, 금융기반구조(infra-structure)로 구분된다. 금융시장은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간에 금융거래가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정보시스템 등 추상적 공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금융시장은 은행 등 금융중개기관을 통하여 예금, 대출 등의 형태로 자금이전이 이루어지는 간접금융시장과 주식, 채권 등 증권을 통해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간에 직접적인 자금이전이 이루어지는 직접금융시장으로 구분된다. 금융기관은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간에 거래를 성립시켜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체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은행,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금융투자업자, 보험회사 및 기타 금융기관으로 구분된다.

 

금융기반구조는 금융기관의 인가 및 경영, 재산권 보호 등을 규정하는 법령과 금융시장의 거래준칙, 금융거래 및 금융기관 업무를 지원하고 감시하는 각종 기구를 포함한다. 기반구조를 이루는 주요 기구로는 중앙은행, 지급결제기구, 금융감독기구, 예금보험기구 등이 있다.

 

 

관련기사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210070065

 

시중은행, 정책금융 제도로 2조5000억원 ‘이자수익’ 봤다

장혜영 의원실 제공. 시중은행이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한 한국은행의 금융중개지원대출 제도를 이용해 5년간 약 2조5000억원의 이자이익을 본

ww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