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경제용어 : 금전신탁

파크웨이7 2022. 10. 12. 15:23

출처 : 경제금융용어700선 (한국은행)

 

 

 

금전신탁이란?

 


금전신탁이란 수탁자가 금전을 신탁재산으로 위탁받아 이를 대출, 채권 등 적절한 투자대상에 운용하여 얻은 이익을 수익자에게 금전 등의 형태로 되돌려 주는 제도이다.

 

신탁은 재산(금전, 부동산 등)을 잘 운용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전문가에게 재산을 맡겨 잘 운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얻는데 그 의의가 있다.

 

금전신탁은 수익자가 신탁재산 의 운용을 지정하느냐 여부에 따라 특정금전신탁(지정)과 불특정금전신탁(비지정)으로 구분되며, 불특정 금전신탁에는 단위 금전신탁, 추가 금전신탁, 가계 금전신탁, 기업 금전신탁 등이 있다.

 

한편, 은행에서 취급하고 있는 금전신탁과 예금과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운용방법에서는 금전신탁은 신탁법 및 신탁계약에서 정해진 것에 국한한 반면 예금은 은행법 등에서 정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다. 이익분배에 있어서는 금전신탁은 실적배당, 예금은 확정이율을 원칙으로 한다.

 

관련기사

http://news.bizwatch.co.kr/article/market/2022/10/12/0006

 

금융당국, 신탁재산 범위 확대…채무·담보권도 신탁 가능

금융당국이 고령화 추세에 따른 종합재산관리 수요에 대응해 신탁 제도 손질에 나섰다. 채무·담보권 등을 취급 대상에 추가해 신탁이 가능한 재산의 범위를 확대한다. 또 병원이나 회계법인 등

news.bizwatch.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