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경제용어 : 관리변동환율제도
파크웨이7
2022. 9. 20. 11:11
관리변동환율제도
환율이 장기적으로 외환시장의 수급상황에 따라 결정되도록 하지만, 단기적으로 정부와 중앙은행이 적정하다고 판단하는 수준에서 환율을 안정시키기 위해 수시로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환율수준을 관리하는 환율제도이다. 고정환율제도와 자유변동환율제도의 장점을 살린 중간 형태라 할 수 있다.
환율을 완전히 시장 자율에 맡기게 되면 환투기 차익 등을 노린 단기자본의 급격한 유출입으로 인해 환율과 외환시장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바, 이러한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70년대 브레튼우즈체제가 무너진 이후의 국제통화제도는 환율변동 허용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혼재되어 있는데
대체로 주요 선진국들은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개도국들은 관리변동환율제(managed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를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
연관검색어 : 고정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외환시장
관련기사
https://www.ytn.co.kr/_ln/0102_202209191724533971
[생생경제] 환율 1,400원 저지 총력전 나선 정부, 이유는?
■ 방송 : YTN 라디오 FM 94.5 (15:00~16:00)■ 진행 : 최휘...
www.ytn.co.kr
출처 : 경제금융용어700선 (한국은행)